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본어2 (8)총 복습, 수동, 사역
    일본어 2023. 3. 17. 04:25

    ---

    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00000921 

     

    [선택과목 특강] 고교 - 일본어Ⅱ

    [선택과목 특강] 고교 - 일본어Ⅱ

    www.ebsi.co.kr

     

    ---

    이번 시간 단어

     

    이카레루
    이카세루
    타베라레루
    타베사세루
    사레루
    사세루
    코라레루
    코사세루
    요마레루

    요마세루
    타베사세루
    사세루
    코사세루

     

    ---

    요약

    총정리~~하다가 쭉 보는데 다시 볼만한 것들이

    부정을 붙이기 전에, 활용이 어미에서 일어나고, 그 다음에 나이를 붙여준다는 것  ▽활용이 안 일어나도 알아들을텐데 왜? 발음 편하게 하려고 바뀌는건가
    그래서 
    스고이 이 -> 쿠 가 됨 
    스키다 다 -> 쟈 가 됨
    우동다 다 -> 쟈 가 됨

    과거가 붙을 땐
    이 형용사의 어미 이 가 캇따로 바뀌는 것  --▽따 가 과거니까 '카'로 바뀌는거라고 해야되나

    복습 쭉~하고

    수동과 사역
    동사 활용표를 보면 나이를 붙여줄 때랑 똑같다. 끝을 a단으로 바꿈

    1류
    이카레루 : 가게 되다
    이카세루 : 가게 하다.

    2류
    타베라레루 : 먹힘
    타베사세루 : 먹게 하는 것

    3류
    사레루 : 당하다
    사세루 : 시키다
    코라레루 : 오게 되다
    코사세루 : 오게 하다


    수동 - 레루, 라레루
    존경
    레루, 라레루는 하시다 라는 뜻도 있다. 수동도 되고 존경도 된다 - 우리나라랑 굉장히 다름
    요마레루 : 읽는 걸 당하다, 읽으시다 둘다 됨

    가능
    2류 동사와 쿠루는 가능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이 라레루가 그 라레루 구나
    타베라레루 = 먹게 되다, 드시다, 먹을 수 있다
    =>1류 동사에는 가능이 따로 있었고, 스루는 데키루가 있었으니


    사역 - 세루 사세루
    루를 떼는 애한테 길게 사세루

     

    ---

    활용 마지막으로 총정리하는 시간

    활용은 어미에서 일어난다

    어미를 떼고 접속 어미를 붙이고.. 하면서 여러가지가 생겨남

     

    그런데 일본어의 어미의 종류는 3가지밖에 없다 => 그럼 활용의 종류도 3가지 뿐

    1.

    '다'로 끝나는 것 :

    (1-1)명사+다 - 명사에, 단정의 조동사 '다'를 붙여서 활용시키는 것. 명사는 활용할 수가 없잖아 어미가 없으니까

    한국말로는 분필 을 분필이다 라는 식으로!!

    (1-2)나형용사 - 스키다 좋아하다. 스키라는 어간에 단정의 조동사 다를 붙인 형태

    좋아함 = 스키 에 다 를 붙여서 활용을 일으키는 것

     

    어미가 똑같기 때문에 명사와 나형용사의 활용은 거의 똑같이 이뤄진다

     

    2.

    '이'로 끝나는 것

    이형용사 - 스고이이 오이시이

     

    3.

    '우단'으로 끝나는 것

    동사(활용을 하는 것들)

    우단 = 10행의 모든 우

    인데 그 중에서 우단으로 끝나는 동사의 어미는 후x, 유x, +구, +부 해서 9개. 이걸로 활용을 한다

    활용의 어미를 살펴보기 끝

     

    ---

    활용의 구분 3 요소도 있었어. 전공 수준으로 들어가면 깊이 있게 알아야되는 표현들이 있는데, 수능까진 이정도만

    보통 vs 정중(마쓰/데스)

    (먹다 vs 먹습니다)

     

    맛있다 = 긍정 현재 보통

    맛있습니다 = 긍정 현재 정중

    맛있지 않다 = 부정 현재 보통

    이렇게 활용이 되는 형태를 박스로 배움

     

    어떻게 하면 과거가 되더라

    어떻게 하면 부정이 되더라  ▽동사 부정은 안했네?

     

    큰 전제. 나이 = ~아니다, ~지 않다

    활용이 어미에서 일어나고, 그 다음에 나이를 붙여주는거야

    나이는 부정을 만드는 조동사라고 보면 된다

    조동사는 품사가 있는데, 어미를 떼고 활용을 일으킨 다음, 붙여주게 되는 것을 조동사라고 해

    '다'는 단정을 나타내는 조동사

     

    그럼

    명사 다

    나형용사 다

    이 형용사 이

    이 세개의 어미가 부정이 될때(나이를 붙여주기전에) 뭘로 바뀌어야 할지 라는거잖아

    다 -> 쟈 가 됐다

    A는 B다

    A는 B이지 않다 여기서도 '다->이지' 됐잖아

    우동 쟈

    스키 쟈

    여기에 나이를 붙여주면 되고, 여기에 정중까지 하면 나이데스

     

    과거는?

    않다 -> 않았다 = 나이 -> 나깟다

    정중 붙이면 나깟다데스

    우동쟈나이

    우동쟈나이데스

    스키쟈나이

    스키쟈나이데스

    우동쟈나깟다

    스키쟈나깟다

    우동쟈나깟다데스

    스키쟈나깟다데스

     

    ---

    명사, 나형용사는 둘다 다로 끝나서 비슷한데

    이형용사는 좀 달랐어

    이가 쿠로 바뀌는 형태

    + 나이, 나깟따, 데스

     

    오이시'이' 중에 이가 쿠로 바뀌는 활용이니까

    오이시 라는 어간만 있고 + 쿠 + 나이

    오이시쿠나이

    오이시쿠나이데스

    오이시쿠나깟따

    오이시쿠나깟따데스

     

    ---

    현재 긍정은 우동다 우동데스

     

    과거는

    다->닷따

    이->캇따

     

    우동닷따

    스키닷따

    오이시깟따

     

    *과거 정중에서! 닷따는 닷따데스는 잘 안쓰여 : 데스가 데시타로 바뀜.

    캇따는 그냥 캇따데스 씀

     

    우동데스의 과거 -> 우동데시타

    스키데스의 과거 -> 스키데시타

     

    ---

    부정과 과거만 확실하게 기억을 해주면 된다.

    나이를 붙일건데 나이 앞에 형용사가 어떻게 변하냐!의 문제

    부정

    어미 다 -> 쟈 + 나이

    어미 이 -> 쿠 + 나이

     

    과거

    어미 다 -> 닷따 

    어미 이 -> 캇따

     

    과거 + 정중(우동다 -> 우동닷따, 우동데스)

    우동닷따데스 보단 우동데시타

    오이시캇따데스

     

    ---

    이제 그 밑에

    접속 : ~이고 ~이고

    명사+다 데

    나형용사 데

    이형용사 쿠 or 쿠테 : 오이시쿠, 오이시쿠테

     

    ---

    명사 수식

    1.명사

    우동의 맛

    *맛 : 일본어로 '아지'

    우동 노 아지, 노가 들어간다

     

    2.나형용사

    좋아하는 맛

    스키나 아지, 나가 된다

     

    3.이형용사

    맛있는 맛

    오이시이 우동 - 특이하게 그냥 붙여주면 돼 오이시'이'의 '이'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

     

    ---

    동사 수식

    1.명사는 동사수식x

    2.니, ~하게라는 뜻이 됨

    3.쿠

     

    ---

    이형용사 되게 특이함

     

    부정을 만들 때도

    쿠나이

    쿠나이데스

     

    과거+부정도

    쿠나깟따

    쿠나깟따데스

     

    접속도 쿠

    동사수식도 쿠

     

    ---

    반면에 명사, 나형용사는

     

    부정

    쟈 + 나이

    쟈 + 나이 + 데스

     

    과거+부정

    쟈 + 나깟따

    쟈 + 나깟따 + 데스

     

    접속, 명사수식, 동사수식이 다름

     

    ---

    여기까지 명사, 나형용사, 이형용사

     

    이제 동사

     

    ---

    동사의 종류는 총 3가지

    공통적인건 모든 동사는 어미가 우단(정확히 저 9개가 갖고 있는 공통점이 다 우단이라는 것)

    우단으로 끝나는 모든 동사는 세가지의 종류로 나눠서 각각 활용을 시킨다

     

    어미 5개가 다 활용이 된다 - 1류

    어미가 한 단만 활용이 된다 - 2류, 끝이 루로 끝나고 앞이 e or i

    =>이 두 문장이 무슨 의미냐면,

    1류 동사는 i로 고치고 마쓰를 붙이는데

    2류 동사는 그냥 루 떼고 마쓰

     

    스루크루

     

    미루 는 2단

    카카루는 (시간)~이 걸리다, 루 앞이 a라서 2류가 아니야 그럼 1류

     

    ---

    동사의 종류 살펴봤고

    동사 활용표 살펴보자

    동사 활용이라고 하는건, 기본형에서 

     

    1류 동사 이쿠는 쿠가 aiueo로 다 활용이 된다라는 말 - 5단 활용

    뒤에 뭐가 붙냐에 따라 이카 이키 이쿠 이케 이코 이렇게 바뀐다고

     

    2류 동사 타베루는 루를 기본형으로 이미 갖고 있기 때문에 u단은 이미 쓰고 있어. 처음 설정 자체가 세팅 - 1단 활용

    근데 루를 뗐다 붙였다 하면서 활용하기 때문에 단이 있다 없다로 하나의 단만 활용한다는 것

    뒤에 뭐가 붙냐에 따라 타베 타베 타베루 타베타베, 그리고 뒤에 활용 어미가 붙는 것

     

    마쓰 : 타베마쓰, 이키마스 이렇게 붙여서 '합니다' 라는 뜻을 갖게 된다.

     

    3류 동사는 불규칙. 걍 다 외우면 됨. 두개밖에 없어서 괜찮음

     

    ---

    위처럼 다섯개의 단을 활용해서 부정, 사역, 가정.. 이런 기능을 갖게 하는데, 이거말고 다른 카테고리가 있다.

    여러가지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대표적으로 테형이라고 하는 것. 집에 애가 셋인데 큰애 이름이 지훈이면 엄마 이름이 지훈이 엄마가 되듯이. 테가 붙든 타가 붙든 어간은 같은 형태

    앞에 오는 똑같은 형태에 테를 붙이면 접속, 타를 붙이면 완료...

     

    ---

    테형은 aiueo의 카테고리가 아니잖아(얘네는 aiueo로 바뀌고 붙여줬어). 그럼 테형은 어떻게 붙여줘?

     

    3류 동사부터 보면

    스루는 무조건 시

    시테 하고

    시타 했다

    시타라 하면

    시타리 하거나

     

    크루는 무조건 키

    키테 오고

    키타 왔다

    키타리 오거나

    키타라 오면

     

    ---

    2류 동사는 단을 하나만 활용하는애라서 루를 붙였다 뗐다만 하면 됨

    그래서 떼고 테 타 타라 타리를 붙여주면 돼

    미루

    미테 보고

    미타 봤다

    미타라 보면

    미타리 보거나

     

    보면알아 미타라 와까리요~

     

    ---

    문제는 1류 동사다! 1류 동사에 테형을 붙이다가 많은 중급 학습자들이 포기하고 책을 덮는다

    ▽그냥 단어 채로 익숙해면 되잖아

     

    동사의 어미를 나눈다 5개로

    그룹 1 우,츠,루

    그룹 2 쿠, 구

    그룹 3 누, 무, 부

    ~스

    여기까지 9개고, 이쿠가 하나 더 있다

     

    얘네를 어미 변화를 시켜줘

     

    우,츠,루 -> 읏 + 테

    ex)카우(사다)

     

    쿠,구 -> 이 + 쿠로 끝나면 테, 구로 끝나면 데

    ex)오요구(수영하다) -> 오요이데(수영하고)

     

    누,무,부 -> 응 + 데(테 아님)

    ex)요무(읽다) -> 욘데(읽고)  //읽었다 욘다

     

    스 -> 시 + 테

    ex)하나스, 카스 -> 하나시테, 카시테

     

    이쿠는 예외,

    원래 쿠로 끝났으면 저기 이로 바꾸고 테데를 붙이면 되는데

    그럼 이이테가 돼야지

    이게 한자로 써서 그렇지 히라가나로 쓰면

    두번 반복이 됨. 그래서 좀 이상함.

    음을 편하게 해주는 음편 현상이 일어나서 '잇떼'가 된다  ▽읏+테가 되는군

     

    ---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슷한 점

     

    예쁘다 -> 예뻤다(읏따)

    뭔가 한국어랑 일본어랑 섞여있는 느낌

     

    ---

    복습

    어간은 안변하고 쿠->이

    카이테 쓰고

    카이타 썼다

    카이타리 쓰거나

    카이타라 쓰면

     

    노무

    어간은 안변하고 무->응

    논데 마시고

    논다 마셨다

    논다리 마시거나

    논다라 마시면

     

    오키루 - 2류동사

    오키테 일어나고

    오키타 일어났다

    오키타리 일어나거나

    오키타라 일어나면

     

    네루 - 2류동사

    네테 자고

    네타 잤다

    네타리 자거나

    네타라 자면

     

    스루

    시테

    시타

    시타리

    시타라

     

    크루

    키테

    키타

    키타리

    키타라

     

    ---

    최종

    내가 이거 보고 해봐!

    노마나이

    노미마스  ▽표 생각하니까 잘되네

     

    ---

    일단 5단 활용 부터

    aiueo했으니 이제 우리가 기억해야할건, 이 그림 보고 뒤에 붙을거 떠올려 보는 것

     

    부정어미 나이

    마스어미 마스(정중)

    가정어미 = 바(~면)

    의지권유  우/요우

     

    ---

    테형에선 누무부니까 응+데

    1류동사의 가능은 끝을 e로 바꾼다음 루 였어

    노메루 마실 수 있다

     

    ---

    2류도 똑같이 해보자

    타베루에서 전부 루만 떼

    이제 뒤에 뭐 붙는지 그림보고 떠올려보기

     

    나이

    마스

    ..

    먹으면에 타베바가 아니라 타베레바가 붙음

    타베우가 아니라 요우

    =>루를 떼는 것만 하는 대신에, 붙여주는 것들을 길게 붙여준다~!  ▽이런 직관 좋아

     

    테형은 다 그대로 붙이면 되고

     

    먹을수 있다 = 타베 + 라레루

    2류동사에서 루를 떼고 라레루를 붙이면 가능  --얘도 길게 붙이네

     

    ---

    3류 스루

    어 보니까 aiueo에서 거의 시네?(▽기존에 aiueo가 담당하던 의미)

    (e) 하면의 스레바는 그냥 외우는 것

    (o) 시요우

     

    테형도 시(테형이라는건 테형을 붙이는 어간의 생김새)

     

    가능은 독립적으로 데끼루 라는 동사. 독립된 단어

     

    ---

    3류 크루

    얘는 aiueo가, 앞이 다 다르네(▽aiueo가 아니지만, 기존에 aiueo가 담당하던 의미)

    코나이

    키마스

    쿠레바

    코요우

     

    근데 테형은 다 키

     

    가능은 코 + 라레루

     

    ---

    이제 수동과 사역을 배우자

    동사 활용표를 보면, 나이를 붙여줄 때의 형태면 돼. 1류 동사는 끝을 a단으로 바꾸는 형태

    a단으로 바꾸는게 나이(부정)만 있는게 아니라 시키거나 당하는 것도 있다~

     

    1류

    이카 + 레루 : 가게 되다. 수동. 가는 걸 당하는 것

    이카 + 세루 : 가게 하다. 시키는 사역

     

    2류

    타베라레루 먹힘

    타베사세루 먹게 하는 것

    루만 뗐으니까 뒤에 길게 붙여줘서 라레루 사세루 느낌

     

    3류

    스루 | 크루는 좀 나눠볼게

    사레루 당하다 | 코라레루 오게되다

    사세루 시키다 | 코사세루 오게하다

     

    레루 세루는 공통으로 갖고 있는데

    레루

    라레루

    사레루

    코라레루

    조금씩 바뀐다. 동사의 종류에 맞는 사역과 수동을 기억해야 한다~

     

    ---

    수동 - 레루, 라레루 인거 보자

    요무(읽다) -> 요마+레루

    타베루 -> 타베+라레루

    스루 -> 사레루

    크루 -> 코라레루

     

    존경?? 레루 라레루를 붙이면 하시다 라는 뜻도 갖게 됨. 수동도 되고 존경도 되고

    요마레루는 읽는걸 당하다(읽게 됐다는 말), 읽으시다 둘다 됨

    내가 읽는걸 당하다 = 읽게 되다  ▽누가 읽히고 있나?

    그분께서 읽으시는 것

    우리나라랑은 굉장히 다른 구조다

     

    2류 동사와, 3류 동사의 쿠루는 가능까지도 갖게 된다. 의미를 3가지를 갖게 된다는 것

    타베라레루 = 먹게 되다, 드시다, 먹을 수 있다

    세개 다 됨

    코라레루 = 오게되다, 오시다, 올 수 있다

    =>이 라레루가 그 라레루 구나

     

    1류 동사에는 가능이 따로 있었어 e+루 였잖아 요메루

    스루도 데키루라는 애가 있었어

     

    예문) 요무가 요마레루가 됨.

    책을 읽게 되다 / 책을 읽으시다

    두 가지의 뜻

     

    ---

    기본형에서 라레루 형태를 붙일 수 있어서 수동과 존경을 갖고 있는데, 2류랑 쿠루는 가능도 갖고 있고, 1류랑 스루 경우엔 가능이 형태가 달라

     

    1류

    요무

    요마레루

    요마레루

    요메루

     

    2류

    타베루

    타베라레루

    타베라레루

    타베라레루

     

    스루

    사레루

    사레루

    데키루

     

    크루

    코라레루

    코라레루

    코라레루

     

    ---

    이번엔 사역 - 세루 사세루

    여기서도 루를 떼는애한테 길게 붙여준다

    요마세루

    타베사세루

    스루는 사세루 - 그냥 사세루네

    크루는 코사세루

     

    1류만 세루네요~

     

    예문)책을 읽게 하다, 읽히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책을 읽게하다 뭐 이런 느낌으로 씀

     

    ---

    방금 표에서 사역 추가

    책을 읽다 요무

    요마레루

    요마레루

    요메루

    요마세루

     

    타베루

    타베라레루

    타베라레루

    타베라레루

    타베사세루

     

    스루

    사레루

    사레루

    데키루

    사세루

     

    크루

    코라레루

    코라레루

    코라레루

    코사세루

     

    ---

    이렇게 라레루, 사세루 이런애들이 조동사야

    수동의 조동사 가능의 조동사...

     

    조동사는

    어미에 활용을 일으켜서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

    광범위해

     

    ---

    앞으로 공부는 배운것들을 갖고 암호해독이다

    아루 하고 물음표가 붙었으니 묻는건가봐. 루로 끝났으니 동사인가봐

    타가 있으니까 완료?

     

    오하나미 : 오하나미? 하나가 꽃인데, 오하나미는 벚꽃구경

    (조사)니

    잇타 -> 가다가 이쿠인데, 잇타니까 갔다 라고하는 완료

    코토우 : 것

    아루?

     

    꽃을 구경하러 간 것 있어? 경험을 묻는 것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