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테코톡
-
인증과 인가와 인증의 방법우아한테코톡 2022. 1. 18. 09:07
--- https://youtu.be/y0xMXlOAfss --- 인증 : 식별 가능한 정보로,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신원을 입증하는 과정 인가 :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자원 접근 권한 확인 --- 게시판 서비스로 예를 들어서 - 글을 쓰려면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한다, 이게 인증 -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하면서 글을 쓸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함, 인가도 포함됨 - 다른 사람의 글을 수정할 수 없다, 인가가 적용이 된 개념 === 자원 : 글을 쓰는 기능, 글을 삭제하는 기능 인증과 인가 : 자원을 적절한/유효한 사용자에게 전달/공개 하기 위한 방법 === 그러므로 선행되는건 인증 5가지의 방법이 있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HTTP로 소통을 한다, 무상태성(Stateless)가 중요 : 서버는 클..
-
Servlet vs Spring우아한테코톡 2022. 1. 15. 22:01
=== https://youtu.be/calGCwG_B4Y 스프링으로 웹을 다룬다는 것 === 처음 웹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서 정적인 페이지로만 응답할 수 있었다 그래서 웹 서버에 프로그램을 붙여서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하기 시작함 서블릿도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웹서버에 붙이는 프로그램 중 하나 === 예를 들 HTTP 요청과 응답, 원래 훨씬 더 길고 복잡함 만약 개발자들이 요청 텍스트를 직접 해석하고, 처리하고, 다시 아래 응답과 같은 텍스트 형식으로 만들어야 된다면 모든 규약을 확인해가며, 긴 텍스트로 들어온 요청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처리를 하고, 처리한 값을 규약에 맞춰서 응답으로 만들어 보내야한다. ▽결국 텍스트 형태의 HTTP 요청만 받는거구나 그걸로 쿵짝쿵짝 하는거고 ===..
-
WAS, Web Server, Web Container우아한테코톡 2022. 1. 15. 19:17
=== https://youtu.be/NyhbNtOq0Bc === - 웹서버는 정적인 컨텐츠만 줄 수 있는것이고(HTML), HTML은 구구단도 못해 - WAS는 (JAVA)웹 애플리케이션을 돌려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냄, HTML의 한계를 극복, DB연결을 하고, 동작을 수행시켜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서버 - 웹서버는 Apache, WAS는 톰캣 - 웹서버가 먼저 정적 동적을 판단하는구나 - 스프링보고 컨테이너라고 부르는 이유가 원래 웹 컨테이너가 있는 용어라서 그렇구나 WAS = Web Server + Web Container *Container =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자바 계열에선 WAS를 웹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라고 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