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WEB
-
HTTPS와 SSL인증서 (4)Apache2 SSL 적용생활코딩 WEB 2022. 11. 28. 14:48
--- https://youtu.be/44BJa-lGVyg 웹서버 세팅 --- 인증서를 구입하는 것까지 진행했다. 이제 웹서버에다 인증서를 설치해서 SSL서비스를 하는것 --- 환경은 리눅스 배포판 중 우분투, 우분투에 Apache설치, 그 Apache에서 ssl을 제공하는 법, 다른 웹서버를 써도 비슷비슷할 것, 각각의 인증서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가이드해줄 것이다. 이 상태. 저 하이라이트 파일은 SSL인증서 관련된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파일 readme.txt는 저만 갖고 있는 파일 나머지 파일은 갖고 있어야 한다. --- (opentutoals내용) SSL을 서비스하는 마지막 단계는 웹서버에 인증서를 설치하는 것이다. SSL 통신을 할 때 사용할 인증서를 웹서버에게 알려주면 웹서버는 정해진..
-
HTTPS와 SSL인증서 (3)SSL 통신과정, startssl생활코딩 WEB 2022. 11. 28. 13:40
--- https://youtu.be/8R0FUF_t_zk SSL 통신 과정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공개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자 서로의 공개키를 서로에게 주고, 서로의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보내는 것. 하지만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컴퓨팅 파워를 많이 쓰는게 단점이라 안쓴다 --- (여기서부턴 그냥 opentutorials내용 섞어서 내가 정리) SSL의 동작 방법 결론부터 말하면 SSL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공개키와 대칭키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공개키만 쓰는 것보다 성능up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주고 받는 실제 정보는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하고,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된 실제 정보를 복호화할 때사용할 대칭키는 공개키..
-
HTTPS와 SSL인증서 (2)공개키, CA, SSL 인증서 내용, 인증서 신뢰생활코딩 WEB 2022. 11. 28. 02:37
--- https://youtu.be/mMCNqc1BmSE --- 대칭키를 보완한 비대칭키=공개키 대칭키는 키를 어떻게 배송해 에서 막힌다(▽오프라인에서 만날것도 아니고) 공개키 방식은 키가 쌍으로 두개 존재한다. --- (opentutorials내용) 대칭키 방식은 단점이 있다. 암호를 주고 받는 사람들 사이에 대칭키를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대칭키가 유출되면 키를 획득한 공격자는 암호의 내용을 복호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가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암호화 방식이 공개키방식이다. 공개키 방식은 두개의 키를 갖게 되는데 A키로 암호화를 하면 B키로 복호화 할 수 있고, B키로 암호화하면 A키로 복호화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착안해서 두개의 키 중 하나를 비공개..
-
HTTPS와 SSL인증서 (1)HTTPS, SSL, TLS, 대칭키생활코딩 WEB 2022. 11. 28. 00:25
--- http://opentutorials.org/course/228/4894 HTTPS와 SSL 인증서 - 생활코딩 HTTPS VS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즉 Hypertext 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HTTPS에서 마지막의 S는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로 Secure라는 말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opentutorials.org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CZ-8rvakaqbplQZAoUku8uuxUgbLQm-1 생활코딩 - HTTPS와 SSL 인증서 www.youtube.com --- https://edu.goorm.io/lecture/12973..
-
WEB3 - HTTP Cache생활코딩 WEB 2022. 11. 11. 16:35
옮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AM6VAWEKtaUnvzePCxnUVo WEB3 - HTTP Cache www.youtube.com --- 1.소개 HTTP 수업 의존 HTTP protocol의 기능중 하나인 Cache, 저장한다 웹 이후 남의 컴퓨터의 문서를 내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인양 볼 수 있었다 웹성장 -> 전송되는 정보 크기 급격히 팽창 -> 데이터의 전송 속도 높여야 해 그 노력중의 하나가 CACHE 페이지를 열때마다 오랜시간이 걸려 -> 이미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왜 또 받아 한번받은걸 컴퓨터에 저장(캐시)했다가 같은 주소로 접속할 때 캐시해둔 파일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는다. 문제 : 우리가 웹사이트 개편해도 사용자들은..
-
WEB2 - DNS (5)DNS record & CNAME, Github pages에 도메인 입히기생활코딩 WEB 2022. 7. 12. 12:29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421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CI75J-rC8yZSVGZq3gYsFp === 서버의 도메인 네임을 지정하는 새로운 방식 === 나는 dns4u.ga 라는 도메인을 갖고 있는 상태 (▽도메인을 갖고 있는 상태지 그거말곤 아무것도 안했어, Registry엔 도메인과 그거 담당하는 네임서버가 뭔지만 적힌다) (▽이 때 이 도메인에 어떤 IP 를 연결할 수가 있는 것) 이 도메인으로 52.231.13.22를 접속할 수 있게 할것인데, 그럼 name server에게 (▽세컨드) 이렇게 파란색으로 정보를 지정해줘야해 이때 저 A의 뜻이 dns4u.ga 의 IP주소가 52~ 이다 라는 뜻이..
-
WEB2 - DNS (4)실제로 해보기생활코딩 WEB 2022. 7. 11. 18:38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421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CI75J-rC8yZSVGZq3gYsFp === 직접해보자 나는 dns4u.ga 라는 도메인을 갖고싶어 내가 서버로 사용하려고 하는 컴퓨터의 IP는 52.231.13.171 그럼 Registrar를 통해 Registry에 등록해야한다 등록하고자 하는 도메인의 탑레벨 도메인은 ga ga라고 하는 name server를 관리하고 있는 registry에게 등록하면 된다 그 등록 대행자로서 freenom.com 서비스를 이용할 것 freenom.com이 미래에는 없어졌을 수도 있고 사용하는 방법이 달라졌을수도 있다. 이건 사례일 뿐이고 이런식으로 대행자를 ..
-
WEB2 - DNS (3)register, nslookup생활코딩 WEB 2022. 7. 9. 18:46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421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CI75J-rC8yZSVGZq3gYsFp === DNS가 사실 많은 부분이 행정적인 부분이고 행정적인 것을 자동화하는 기술들이 뒷받침되고 있다 === DNS시스템의 최고 정점에 ICANN이라고 하는 거대한 비영리단체가 있다 - 얘네는 전세계에 있는 IP주소를 관리한다 - Root name server들에 대한 관리자다 - 인터넷이라고 하는 체계의 관리자같은 역할 === 그리고 그림에선 Root name server가 있고 주소는 a.root-servers.net 이라는 주소를 갖고 있는 컴퓨터가 있는데 실제로는 한대가 아니고 a부터 m까지 13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