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2 (3)청음,탁음,반탁음,요음,촉음,발음,장음,박,조사(오,와,에),인사말일본어 2022. 3. 5. 02:50
---
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00000921
[선택과목 특강] 고교 - 일본어Ⅱ
[선택과목 특강] 고교 - 일본어Ⅱ
www.ebsi.co.kr
---
4강에서 3강 복습
촉음 요음, 7박
청음(탁음 말고 나머지) 탁음
이입빠이 이런식으로 촉음도 박을 가진다 반탁음
한국말론 심분 이렇게 받침화로 두박같은데 일본어는 심~분~ 네박
---
3강 시작~!
일본어의 7가지 요소
---
1.청음 : 맑을 청, 1~2강에서 본게 다 청음, 히라가나 가타카나 다 청음
2-1.탁음 : 땡땡이 붙어서 소리가 무거워지는 것, ㅋ가 맑은거고 ㄱ가 탁한거야,
2-2.반탁음 : 하 행에다 동그라미 붙이는 것 뿐 ㅎ->ㅍ
3-1.요음 : 야유요를 작게 써서 붙여서 소리를 내는 것, 일본어에 유일하게 두글자가 한박을 가지는 것.
샤, 야유요는 작게 써야 하고, 두글자가 한 음이다.
3-2.촉음 : 목이 막히는
키와 테 사이에 저렇게 생긴걸 넣는것, 키테인데 사이에 목을 막아서 키윽테. 막히는 음 윽
4.발음 : ん, pronounce가 아니라
m, n, ing, N 다 섞어 놓은 듯한 네가지의 발음을 갖고 있는 글자
센세는 n발음
5.장음 : 길게 소리 내기
Art : 아~또, 아또 가 아니라
여기 5번까진 표기가 되고
6번부턴 표기가 안된다
6.박 : 박자, 일본어의 모든 글자는 박을 갖고 있어, 요음만 두글자가 한박
일본어는 길게 소리를 내는것과 짧게 소리를 내는 것이 뜻이 달라 (한국도 개념은 있지만 실제로 신경은 안쓰잖아 밤, 밤~)
장음은 박을 더 갖는다, 뜻이 완전히 달라짐.
오바상 : 아줌마(친척 어른)
오바아상 : 할머니
7.발음에 주의할 조사
오 & 오 : https://namu.wiki/w/%E3%82%92
'오' - 을/를, 와행의 wo를 갖고 있어서 워라고 읽고 싶은데 그렇지 않고 /o/ 라고 읽는다
아이우에오의 오랑은 어떻게 다르냐? 아래 오는 글자속의 스펠링 같은 것
히라가나 하 : 조사일 경우 은/는 의 뜻이 되고, 와 라고 읽어 와따시와 /wa/
https://www.nhk.or.jp/lesson/korean/questions/0003.html
---
다시 1번부터 차근차근
1.는 그냥 넘어가고
2.탁음이 붙을 수 있는 행은 4개, 아래는 기존에서 초록색 띠를 두르는 애들이 추가 됨
카행이 "가 붙어서 가행 : 으가 하면 탁한 발음 나옴
카 도 우리나라의 카와 달라. 일본인은 동통똥을 구별 못한다. 청음이라고 하는게 저 세가지 소리를 다 갖고 있어서
앞에붙는 청음, 뒤에붙는 청음이 다름
미까, 카스 이런식으로 까, 카 다 돼
앞에 으 붙여서 발음 달라지는 애들이 있다
으아 는 안달라져
으가 : ㅋ->ㄱ
으사 : ㅅ->ㅈ
으자 : ㅌ->ㄷ, 타치츠테토 라서 치츠는 지즈로 바뀜, 다지즈데도
둘 씩 발음 같다 으나 안달라져
으하 : 좀 어색하긴 하지만 ㅎ->ㅂ로 바뀜
탁음은 20개
왼위에서 오아 로
아리가또고자이마스
도모 : 거시기 같은 말,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
반탁음, 딱 한줄
피카피카 : 반짝반짝
파소콘 : PC
https://www.jisiklog.com/qa/14269660
---
요음, 이단에 야유요를 작게 써서 붙이는 것, 두글자가 한박
이단 2개 없으니 8개
야유요를 작게 붙여주는 것
이단에만 붙는다. 이(모음)에는 안붙어
이단의 기능은 자음의 역할을 하는 것 k(자음역할) + ya ▽근데 키야 기도 하잖아?
d는 있긴한데 잘 안써, 선생님은 차 이름에서만 본 것 같아. 그래서 그냥 비워놓음
---
야유요 요음은 이단에만 붙이는거야 저 찍 그은건 틀렸어.
밑에도 슈가 아니라 시부터 시작해야해. 시유쿠다이
---
지유우 쥬우 3개 2개
유의 크기 차이, 크게 써지면 본 발음, 작게 쓰여지면 요음
자유, 십
리요우 리요우리
이용, 요리
둘다 세박
---
촉음, 뒷 발음에 의해서 발음을 내준다. '카사타파'행의 앞에서
뒤에 있는 글자의 첫번째 자음 따라감 = 갘코우라고 하면 알아듣겠니?근데 이건 설명용이야 박이 틀렸어
가ㅋ코우, 조그만 애가 혼자서 한박을 가짐,
그리고 갘 각 우리나라말론 똑같지만 여기선 달라. 가아크코우 이런느낌이야
자ㅅ시
조또마ㅌ테
이ㅃ빠이, 잎파이(잇바이가 아님. 입이 닫힘)
---
발음, 이것도 뒷발음에 영향을 받음, 한박을 취한다
m : 마바빠행 앞에서 응이 오면 m으로 소리가 난다
포도 파행이야
사음포, 응도 한박을 가짐
엄(m)~마바파 : 엄마바빠로 외우기
---
n : 사자타다나라 앞에서 응이 오면 n으로 소리가 난다
사고 타고 날아
나ㄴ데스까
데니까 다행
-
ing : 카가 행은 ing, 응
카ㅇ코크
코는 카행이니까
---
N : 나머지, 안외워도 됨, 대문자 N이라는 발음기호 봤어?그리고 심지어 표시도 안해
ing랑 n이랑 섞인 느낌,
ㄴ 도 아니고 ㅇ 도 아니고
오카산 아니고 오카아상음 하고 내려버리는 느낌으로 마무리가 되는
이건 뭐 계속 하면서 공부하세요
---
장음 : 똑같은게 두개가 반복되면 아아 이러지 말고 아~
오 카 아 상 -> 오카~상
오이시이 -> 오이시~
쿠우코우 -> 쿠~코우
오네에상 -> 오네~상
오오키이 -> 오~키~
---
장음2
다른 모음이 두가지가 합쳐졌을 때
ei -> e~
센세이 할 때도 센세~ 했듯이
ei발음은 긴 장음 처리 한다
keitai : 케~타이
ou -> o~
쿄우가 아니라 쿄~
gakkou의 ou가 오장음이 된다, 각코우가 아니라 각코~
가타카나에서는 부호를 이용해서 장음처리, 노바시보, 伸ばし棒
카~도
---
이제 복습
박
한박은 하나의 음을 갖고 있다
일본어는 하나의 글자를 한박의 길이로 대답한다
네코
햐크 (히야크X)
료우리
요음만 두글자가 한박
자읏시
카안지
오하요~ 오우 아님 ou -> o~
---
발음에 주의할 조사
오하요의 하는 글자속 스펠링
조사로 쓰이면 은는, 하가 아니라 와로 읽어
와따시와
히라가나 헤 는 는 ~로 라는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쓰이면 헤 라고 쓰고 에 라고 읽는다
을/를 을 나타내고 오 라고 읽는다
▽
은/는 : 하 / 와
~로 : 헤 / 에
을/를 : 오 / 오
사실 의성어니까 뒤에 세개는 가타카나여야 하하와 : 하하는 엄마, 나의 어머니를 부를 때 하하. 오카상도 엄마.
엄마는 하하하 하고 웃었습니다
뒤에 하하하는 의성어니까 가타카나로 써야 하는데 헷갈리라고 히라가나로 썼대
아래처럼 바꿔쓸 수 있어
저런거 때문에 한자와 가타카나가 있어야 좀 잘 읽힌대
---
오하요 / 오하요고자이마스 : 안녕 / 안녕하세요
곤니치와 : 오늘은 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하가 아니고 와라고 읽는다.
곰방와 : 오늘밤은
히사시부리 : 오랜만이야
오히사시부리데스 : 오랜만입니다
사요나라는 장음 있을수도 없을수도
---
퀴즈타임
오늘 배운것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청음 탁음.. 한박씩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2 (5)동사1 - 마쓰형(마쓰,타이,나가라,니), 나이형 (0) 2022.03.15 일본어2 (4)'명사+다'&'나형용사'&'이형용사'의 정중&부정&과거, 데스&마스, 쟈&데와, 나이데스&아리마셍 (0) 2022.03.13 일본어2 (2)가타카나 (0) 2022.03.03 일본어2 (1)히라가나 (0) 2022.03.02 가타가나 2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