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본없이 말 잘하기
    기타 2021. 9. 7. 02:26

    https://youtu.be/_PAVPvCU9G4

     

    대본없이 말잘하는법 (변호사가 알려드림)

    #화술 #말하기 #면접 #스피치 #달변가

    youtu.be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여러가지 말하기의 패턴을 충분히 몸에 익게 연습을 해보는게 무엇보다 중요. 상황(패턴)에 익숙해져야함. 아무런 연습없이 갑자기 되는건 아무리 말을 잘 하는 사람도 어렵다.

     

    비슷한 환경의 비슷한 패턴에 나를 많이 노출시키는 게 가장 중요. 외국어를 할 때 내가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경험이 많이 있다라고 하면 외국어를 할 때도 그 상황에 맞춰서 더 능숙하게 할 수 있는 것처럼, 모시기 힘든 어르신을 모시는 상황을 한 번 두 번 세 번 겪다 보면 똑같은 상황이 됐을 때 훨씬 더 부드럽게 말을 잘 한다.

     

    어떤 상황이든지 내가 한번 연습해본 상황으로 만들고서 그 상황 하에서 말하기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대본 없이 준비 없이 말하는 것을 원만하게 소화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됨

     

    허무하지? 결국은 연습하라는 거라서

    근데 말하기를 연습해야 된다는 생각을 안 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다. 말하기를 타고난 사람들조차도 당연히 부드럽게 준비 없이 뭔가 보지 않고 그냥 줄줄줄 말을 하려면 무조건 연습을 많이 해야함. 대본 없이 특정 상황에서 말을 하는 것을 되풀이 하다보면 말하는 주제가 매번 바뀌더라도 되풀이 되는 것들이 있다는 걸 느낀다.

     

    생각의 흐름이나 말하기의 전개 같은것도 자연스럽게 내가 끌고 나갈 수 있도록 체화가 됨.

    처음에는 내가 어떤 특정 주제에 대해 대본 없이 줄줄줄줄 얘기를 해야 된다 라고 하면 아무 생각도 안나고 갈팡질팡 우왕좌왕 이것도 계속 대본없이 연습을 하다 보면 어떤 특정 주제가 나왔을 때, 그거에 대해서 자신만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됨.

     

    임현서의 경우에는 치밀하게 짜지 않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처음에는 이야기를 오프닝하는 흥미유발, 내 얘기 등 주제를 오픈하는 걸 한번 생각하고 뒤따라서 연관된 주제소개, 사례등의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거기에 논리와 살을 붙여나감

     

    처음에는 생각이 아무것도 잘 안나는데 자꾸 하다 보면

    '이 흐름으로 시작해서 이걸 꼬리로 붙이고 이 다음엔 이걸 붙이고 마무리는 이걸로 해야겠다'

    이게 빠르게 됨.

     

    한가지 주제에 대해 완결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이야기를 해 보는 연습을 해보기. 어휘 + 구성 + 전달(어조?) --내가 항상 생각하고 있던건데 아직도 안하고 있는것

     

    이렇게 내 틀이 생기면 주제만 갈아끼우면 된다.

     

    결론 말하기를 연습하기, 의식적인 시간이 반드시 있어야한다.

    이게 잘 되면 주제만 던져주면 (머릿속으로 고민을 빠르게 한 뒤)혼자서 5분 10분 줄줄줄줄 떠들 수 있다.

     

    임현서는 부분부분 마다 키워드를 생각해놓는대

    대본없이 말하기?

    1.그게 내 특기다

    2.다들 잘 못할듯

    3.내가 생각하기에 비법은 패턴을 통해 학습됨. 전체적인 흐름, 패턴을 직접 여러번 해봐야한다.

    4.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라는 이야기를 해야지 라고 빠르게 생각해놓는대. 이렇게 짜내는 능력도 연습하면 발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카메라보고 말을 저만큼 잘하는 사람도 없을거라고 확신한대 와

     

    이건 카메라를 보고 혼자 10분 떠들기에 대한거고, 면접이나, 사회보기 같은것에선 전혀 다른 패턴이 나옴. 그럼 그 패턴 상황에 맞춰서 연습을 해놓은 사람이 잘한다.

     

    (최고의 전성기이던)김국진도 5분 10분 짜리하다가 1시간 맡겨놓으니까 인생최악의 55분이었다고 한다. 다 패턴이 있고 상황 세팅에 맞는 말하기가 있다. 그것에 맞춰 착실하게 준비하는 것. 그 특정한 유형의 말하기가 따로 있고, 그걸 연습해야 진짜로 효과를 볼 수가 있다.

     

    1.연습해야함.

    2.머릿속을 활용해야함. 구성이나 그림을 떠올리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  (0) 2021.11.08
    윈도우 업데이트 재부팅 지 마음대로 함  (0) 2021.10.19
    CI/CD  (0) 2021.09.01
    API  (0) 2021.08.21
    XML, JSON, YAML  (0) 2021.07.2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