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문법, 괄호 규칙
React(리액트): JSX 규칙 (태그, 중괄호{}, 주석)
JSX의 기본 규칙 알아보기 JSX는 리액트에서 컴포넌트의 생김새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문법이다. 얼핏 보기에는 HTML처럼 생겼지만 사실 자바스크립트이다. 'BABEL(바벨)'이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XML
bgeun2.tistory.com
: 많이 참고
https://bgeun2.tistory.com/20?category=878823
React(리액트): props(properties), defaultProps, children
리액트에서 props는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특정 값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App.js import "./App.css"; import Hello from "./Hello"; function App() { return ; } export default App; App 컴포넌트에서 He..
bgeun2.tistory.com
: 시리즈로 있네
BABEL이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XML 형태의 코드가 JS로 변환이 되는 것
그러기 위한 몇가지 준수해야할 규칙들
1.
return안이 JSX 문법, 그렇겠지 리턴값을 어떻게 할 테니까
2.
input, br같은것도 닫아줘야해, 셀프 클로징 태그 가능
3.
두개 이상의 태그는 꼭 하나의 태그로 감싸져 있어야 해
-- 처음에만 감싸줘야 되는게 아니었구나
4.
자바스크립트 값을 JSX 내부에서 사용할 때는 중괄호로 감싸줘야 한다
const name = '이거';
return <div>저걸 갖고오려면 : {name}</div>
5.
class가 아니고 className
: ▽return안에 있는 태그에 대해서도 style을 입힐 수가 있지 방법은 import
6.
JSX 내부에서(import해서 하는거 말고) 스타일을 사용할 때, 객체 형태로 만들어넣어줘야 작동.
const style = { background: 'gray', }
<div style={style}> 같이 { } 안에 넣어줘야 해
두개 해줘야함
7.
주석은 작성하는 위치에 따라 사용법이 다름
태그 인라인과 바깥쪽이 다른듯?
인라인은 //
태그 바깥쪽은 {/* */}
어차피 컨 + /
8.
JSX에서 조건식
(1)삼항연산자 : 둘중 하나에 따라 보여줘야 하는 값이 다를 때
(2)&&연산 : 숨기고 보여주고 할 때
&&연산 설명
JS에서 &라는 연산자는
조건 & 조건
True True ⇒ True
True False ⇒ False
False True ⇒ False
False False ⇒ False
근데 && 두개 쓰는 경우가 있다. 좀 빠른애야 서킽 오퍼레이터
&는 하나라도 거짓이면 거짓이잖아 를 이용해서
앞의 값이 True로 오면 뒤 값을 보고 계산
앞의 값이 False면 뒤의 값을 안봄
ex.name === '리액트' && <h1>리액트 입니다.</h1>
: 앞이 name 이 리액트가 아니면 뒤의 <h1은 보지도 않는다
첫번째 피연산자가 truthy면 두 번째 피연산자를 반환함.
첫번째 피연산자가 falsy면 첫번째 피연산자를 반환하고 두번째는 무시.
=>그래서 { } 로 묶으면 false는 화면에 아무것도 안 표시돼서
=>맞으면 뒤에거 반환 아니면 없어짐
ex.